전체 글79 [Linux] 압축하기/압축풀기(tar, tar.gz) 1. .tar로 압축하기 tar -cvf [파일명.tar] [폴더명] ex) abc라는 폴더를 ddd.tar로 압축하고 싶다면 tar -cvf ddd.tar abc 2. .tar 파일 압축풀기 tar -xvf [파일명.tar] ex) ddd.tar의 압축을 풀고싶다면 tar -cvf ddd.tar 3. .tar.gz로 압축하기 1) 한 번에 하기 (안 되는 운영체제 있음) tar -zcvf [파일명.tar.gz] [폴더명] ex) abc라는 폴더를 ddd.tar.gz로 압축하고 싶다면 tar -zcvf ddd.tar.gz abc 2) 나눠서 하기 (대부분 가능) tar -cvf [파일명.tar] [폴더명] -> gzip [파일명.tar] ex) 1번 방법으로 tar파일을 만든 후, 만약 ddd.tar라면.. 2023. 6. 13. [AIX] 필수 명령어 레드햇 계열 리눅스와 살짝 달라서 정리해둠. 쉘 기준 1. 입력 esc + | : 자동완성 esc + k : 이전 명령어 esc + j : 다음 명령 2. 삭제 x : 현재 커서에서 delete dd : 한 줄 삭제 3. 이동 1G or 1+enter : 맨 앞으로 이동 shift+g : 맨 뒤로 이동 shift+4 : 문장 맨 뒤로 이동 shift+6 : 문장 맨 앞으로 이동 * 기타 명령어 - 프로파일 설정 source ~/.bash_profile (x) . ~/.bash_profile(o) 20230704 *메모리 확인 topas *df 명령어 df -g | tr -d '%' | awk '$4 >= 75 { print }' | head -4 ..to be updated 2023. 6. 13. [Linux] 리눅스 사양 및 용량 조회 1. CPU # CPU 사양 확인 : cat /proc/cpuinfo | more 만약 CPU 모델명만 알고 싶으면 grep 추가 # CPU 모델명만 확인 : cat /proc/cpuinfo | grep name #코어수만 확인(총 쓰레드수) : nproc cf) 운영체제 확인 cat /etc/os-release 2. RAM # 자세히 조회 : free # 보기 편하게 조회 : free -h 3. 스토리지 df [옵션] [디렉토리] ex) #df -h /dev/mapper/centos-root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 /dev/mapper/centos-root 8.0G 5.5G 2.6G 69% / 2023. 6. 13. [Linux] 호스트네임 변경하기 1. 조회 hostname or uname -n : 호스트네임 조회 2. 임시 변경 (루트 권한) hostname [변경할 이름] : 괄호 안의 이름으로 임시변경 3. 영구 변경 vi /etc/sysconfig/network 들어가서 HOSTNAME=[변경할 이름] 2023. 6. 13. [Linux] vi editor 자주 쓰는 명령어 레드햇 계열 기준으로 이거면 충분하다. 1. 삽입 i :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2. 삭제 dd :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 삭제 [N]dd : 삭제할 줄의 수만큼 쓴 후 dd ex) 20dd하면 20줄 삭제 3. 수정 u : undo ctrl+r : redo 4. 이동 gg or 1G or 1+enter : 글의 맨 앞으로 이동 shift+g or G : 글의 맨 아래로 이동 shift+6 or ^ :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 shift+4 or $ : 문장의 맨 뒤로 이동 5. 검색 커서 기준 아래로 : ?+문자열 커서 기준 위로 : /+문자열 n : 일치결과 아래로 shift+n or N : 일치결과 위로 6. 기타 :set number : 줄 번호 표시 2023. 6. 13. [Tibero Error] no space left on device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* A shared memory segment with the same key already exists. * SHM_KEY = 0x9ea65045 * Trying to reuse the shared memory segment...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 ~no space left on device 공유메모리가 가득 차서 생기는 에러. tip파일에서 SHM값을 키워줘도 되고, 디스크 용량이 충분하면 SHM을 비워주면 해결된다. *cf) tbdown clean.. 2023. 6. 13. 이전 1 2 3 4 5 ··· 14 다음